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GIT
- HTML문법
- HTML
- Terminal
- apache tomcat
- HTTP
- 속성값
- 백준
- 자식태그
- Homebrew
- 배열
- gitbash
- 팀버너스리
- 알고리즘
- Internal
- heda
- 속성
- Html공백
- meta
- 부모태그
- inline
- External
- DOCTYPE
- HyperTextMarkupLanguage
- 프로토콜
- calss
- 중첩
- 톰캣
- HTML소개
- SpringBoot #JPA
- Today
- Total
목록프로그래밍 말 (13)
STUDIO_54
Optional 클래스에서 제공되는 솔루션. 값이 존재하는지 확인 할 수 있는 메서드. Optional 객체가 있을 때, isPresent() 메서드를 사용하여 값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래핑된 값이 null이 아닌 경우 이 메서드는 true 를 반환한다. Java 11부터 isEmpty() 메서드를 사용하여 반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Test public void whenCreatesEmptyOptional_thenCorrect() { Optional empty = Optional.empty(); assertFalse(empty.isPresent());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RHdlO/btqDCbC3L62/V7kn5Nwbw63ujBP3qUUNc1/img.png)
순전히 내가 까먹기 전에 정리하는 게시판 그냥 나무위키 긁어옴. CentOS 센트OS는 센트OS 프로젝트에서 레드햇 제휴로 개발한 컴퓨터 운영 체제. 업스트림 소스인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와 완벽하게 호환되는 무료 기업용 컴퓨팅 플랫폼을 제공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리눅스계 운영 체제 가운데 하나 VMOS MOS는 게스트 운영 체제로 다른 Android OS를 실행할 수있는 Android의 가상 머신 앱 Yum Yum은 Yellow dog Updater, Modified의 약자로 RPM 기반의 시스템을 위한 자동 업데이터 겸 패키지 설치/제거 도구 Xshell Xshell은 넷사랑컴퓨터의 SSH, 텔넷, Rlogin을 위한 단말 에뮬레이터 클라이언트. 호스트별로 개별 세션 파일을 만들 수 있으며 세션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2VcWW/btqzOwEWkXI/tlb0dNkkukZWI3GkEuWjO1/img.png)
*CSS의 구성 span : selector (선택자) color : property red : value *style을 적용하는 방법 1. inline HTML 태그 안에 적용 다른 CSS파일에 적용한 것보다 가장 먼저 적용됨 2. internal style 태그로 지정 구조와 스타일이 섞이므로 유지보수가 어려움 별도의 CSS파일을 관리하지 않아도 되고, 서버에 CSS파일을 부르기 위해 브라우저가 별도의 요청을 보낼 필요 없음 3. external 외부 파일(.css)로 지정하는 방식 CSS 코드가 아주 짧지 않다면 가급적 이 방법으로 구현 internal 코드와 같은 css코드를 구현, style.css와 같은 별도 파일을 만들고 이후에 아래처럼 link태그로 추가 4. 우선순위 inline은 별도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azb8c/btqzPmuO6Ag/ywb00Nxkp23tImFBjBHdlk/img.png)
*ID 고유한 속성으로 한 HTML 문서에 하나만 사용 가능 고유한 ID 값이 있으면 하나하나에 특별한 제어를 할 수 있음 *Class 하나의 HTML 문서 안에 중복해서 사용 가능 하나의 태그에 여러 개의 다른 class 이름을 공백을 기준으로 나열 가능 홈페이지 전체적인 스타일을 일관서 있게 지정하기 위해서는 class의 사용이 필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NsBQ/btqzOLV1TCJ/UFBJewdxE2N8OfSBo7N9U1/img.png)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란?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규약 *HTTP 작동방식 장점 -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에 적합 -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계속 연결된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최대 연결 수보다 훨씬 많은 요청과 응답을 처리함 단점- 연결을 끊어버리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의 이전 상황을 알 수가 없음- 이러한 특징을 무상태(Stateless)라고 함-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서 Cookie와 같은 기술이 등장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인터넷 상의 자원의 위치 특정 웹 서버의 특정 파일에 접근하기 위한 경로 혹은 주소 GET :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서 사용 (SELECT) POST : 정보를 밀어 넣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mt7l5/btqzECkxR7t/5tOrzrKJ0KOm0VC3j348Qk/img.png)
*HTML의 기본 구조 _예시 HTML Hello, HTML *문서 타입 정의 보통 DTD(doctype)라고 부름 문서가 어떤 버전으로 작성되었는지 브라우저에 알려주는 선언문 격, 반드시 문서 내 최상단에 선언되어야 함 *요소 문서 타입 선언 후, 태그가 나오고 자식으로는 태그와 태그 태그의 lang 속성은 어느 언어로 작성 되었는지 의미 태그에 위치하는 태그들은 브라우저 화면에 표시 안 됨 (문서의 기본 설정이나 외부 스타일 시트 파일 및 js 파일을 연결하는 등의 역할) 태그의 charset 속성은 문자의 인코딩 방식을 지정 태그에는 실제 브라우저 화면에 나타내는 내용이 들어감 위 코드는 가장 기본적인 문서 구조, 이 보다 더 많은 태그가 들어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0CZsn/btqzFXacT4F/Wav6MGt7qK8jgViJjhFUYk/img.png)
*HTML에서의 주석 HTML 주석은 화면상에 표시 되지 않고 코드 상에만 노출(메모의 목적) > 코드에 대한 설명을 적거나, 임시로 태그를 보이지 않게 함 주석의 시작은 표시로 종료 _예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rPpJ/btqzEifKy10/xjOC6gZtDja8iL7gKTY8M0/img.png)
*HTML에서의 공백 기본적으로 HTML은 한 칸 이상의 공백을 모두 무시 (이러한 공백 처리는 css로 제어할 수 있음, 추후 학습 예정)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n3NO1/btqzEitfWVV/6JKkvbzvElR7euxaqP4X10/img.png)
*빈 태그란? 앞서 태그는 중첩할 수 있지만, 불가한 태그도 있음 > 이런 태그를 빈 태그 시작태그와 종료태그 2개가 1쌍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태그 _예시 *빈 태그의 특징 내용이 비어있을 뿐, 속성을 통해 화면 표시나 다른 용도로 사용 브라우저가 내용을 대체해야하는 대체 태그(replacement 태그)와 실제로 화면에 출력될 내용이 없어 다른 용도로 쓰이는 태그도 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