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Html공백
- meta
- HTTP
- 프로토콜
- HTML소개
- 배열
- Terminal
- gitbash
- 톰캣
- 백준
- HyperTextMarkupLanguage
- apache tomcat
- SpringBoot #JPA
- Homebrew
- 부모태그
- 자식태그
- 속성
- 속성값
- 알고리즘
- Internal
- heda
- HTML문법
- 팀버너스리
- GIT
- inline
- 중첩
- calss
- HTML
- External
- DOCTYPE
- Today
- Total
목록아무말대잔치 (17)
STUDIO_54
Optional 클래스에서 제공되는 솔루션. 값이 존재하는지 확인 할 수 있는 메서드. Optional 객체가 있을 때, isPresent() 메서드를 사용하여 값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래핑된 값이 null이 아닌 경우 이 메서드는 true 를 반환한다. Java 11부터 isEmpty() 메서드를 사용하여 반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Test public void whenCreatesEmptyOptional_thenCorrect() { Optional empty = Optional.empty(); assertFalse(empty.isPresent());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RHdlO/btqDCbC3L62/V7kn5Nwbw63ujBP3qUUNc1/img.png)
순전히 내가 까먹기 전에 정리하는 게시판 그냥 나무위키 긁어옴. CentOS 센트OS는 센트OS 프로젝트에서 레드햇 제휴로 개발한 컴퓨터 운영 체제. 업스트림 소스인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와 완벽하게 호환되는 무료 기업용 컴퓨팅 플랫폼을 제공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리눅스계 운영 체제 가운데 하나 VMOS MOS는 게스트 운영 체제로 다른 Android OS를 실행할 수있는 Android의 가상 머신 앱 Yum Yum은 Yellow dog Updater, Modified의 약자로 RPM 기반의 시스템을 위한 자동 업데이터 겸 패키지 설치/제거 도구 Xshell Xshell은 넷사랑컴퓨터의 SSH, 텔넷, Rlogin을 위한 단말 에뮬레이터 클라이언트. 호스트별로 개별 세션 파일을 만들 수 있으며 세션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wZpLC/btqDj27Dd9J/6mvvdjGkMeJPxlyGiD8fbK/img.png)
[문제] 다장조는 c d e f g a b C, 총 8개 음으로 이루어져있다. 이 문제에서 8개 음은 다음과 같이 숫자로 바꾸어 표현한다. c는 1로, d는 2로, ..., C를 8로 바꾼다. 1부터 8까지 차례대로 연주한다면 ascending, 8부터 1까지 차례대로 연주한다면 descending, 둘 다 아니라면 mixed 이다. 연주한 순서가 주어졌을 때, 이것이 ascending인지, descending인지, 아니면 mixed인지 판별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문제 해설] 1부터 8과 8부터 1까지 경우의 수는 한 개 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소스코드] package array; import java.util.Scanner; //class Main { // public static void m..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onKlk/btqDbFLlE0Q/yvayPVy5kXwkNYLwFksvBk/img.png)
[문제] 타로는 맛있는 키위 주스를 준비했습니다. 타로는 0부터 N-1이라 이름을 붙인 N개의 병에 키위 주스를 넣었습니다. 이때 i번째의 병의 용량은 capacities[i] 리터이며 타로가 i번째 병에 넣은 키위 주스의 양을 bottle[i] 리터라고 합니다. 타로는 병에 키위 주스를 재분배하려고 하며, 0부터 M-1까지 M회 조작합니다. i번째의 조작은 타로가 병 fromId[i]부터 병 toId[i]에 키위 주스를 넣는 것을 의미합니다. 병 fromId[i]가 비어 있거나 병 toId[i]가 꽉 차 있는 순간, 타로는 더 이상 키위 주스를 넣지 않습니다. N개의 요소를 가진 정수 배열 int[]를 리턴해 주세요. 배열의 i번째 요소는 모든 주스를 쏟는 작업이 완료되고 i번째 병에 남아 있는 키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2VcWW/btqzOwEWkXI/tlb0dNkkukZWI3GkEuWjO1/img.png)
*CSS의 구성 span : selector (선택자) color : property red : value *style을 적용하는 방법 1. inline HTML 태그 안에 적용 다른 CSS파일에 적용한 것보다 가장 먼저 적용됨 2. internal style 태그로 지정 구조와 스타일이 섞이므로 유지보수가 어려움 별도의 CSS파일을 관리하지 않아도 되고, 서버에 CSS파일을 부르기 위해 브라우저가 별도의 요청을 보낼 필요 없음 3. external 외부 파일(.css)로 지정하는 방식 CSS 코드가 아주 짧지 않다면 가급적 이 방법으로 구현 internal 코드와 같은 css코드를 구현, style.css와 같은 별도 파일을 만들고 이후에 아래처럼 link태그로 추가 4. 우선순위 inline은 별도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azb8c/btqzPmuO6Ag/ywb00Nxkp23tImFBjBHdlk/img.png)
*ID 고유한 속성으로 한 HTML 문서에 하나만 사용 가능 고유한 ID 값이 있으면 하나하나에 특별한 제어를 할 수 있음 *Class 하나의 HTML 문서 안에 중복해서 사용 가능 하나의 태그에 여러 개의 다른 class 이름을 공백을 기준으로 나열 가능 홈페이지 전체적인 스타일을 일관서 있게 지정하기 위해서는 class의 사용이 필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NsBQ/btqzOLV1TCJ/UFBJewdxE2N8OfSBo7N9U1/img.png)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란?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규약 *HTTP 작동방식 장점 -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에 적합 -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계속 연결된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최대 연결 수보다 훨씬 많은 요청과 응답을 처리함 단점- 연결을 끊어버리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의 이전 상황을 알 수가 없음- 이러한 특징을 무상태(Stateless)라고 함-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서 Cookie와 같은 기술이 등장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인터넷 상의 자원의 위치 특정 웹 서버의 특정 파일에 접근하기 위한 경로 혹은 주소 GET :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서 사용 (SELECT) POST : 정보를 밀어 넣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I3tB7/btqzD6mFvdn/sHSGMFEinOecItCS5MKKI1/img.png)
macOS_Catalina 기반 macOS 용 패키지 관리자 Homebrew를 이용하여 설치 1. Apache Tomcat 설치 방법 1. 먼저 터미널(terminal)을 실행 "pwd" 명령어를 이용하여 자신의 현재 디렉터리 위치를 확인 ("/Users/자신의 홈 폴더명"이 기본 위치) 2. "brew update" 명령어를 이용하여 최선 버전으로 업데이트 (글을 쓰는 시점에서 가장 최신은 버전 9) 3. "brew search tomcat" 명령어를 이용하여 자신이 설치할 톰캣 버전을 확인 4. "brew install tomcat" 명령어를 이용하여 최신 버전을 설치 (버전 6~8을 설치하고 싶으면 목록에서 나온 명칭을 그대로 입력하면 된다. ex. "brew install tomcat@8" 명령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nuz8q/btqzDtvhSHE/KVzb1DkRIxf2wtWeTK3C2K/img.png)
cd(change directory) _ 현재 작업하는 디렉토리의 위치를 바꿈 cd .. _이전 디렉토리로 이동 cd -al _ ls(List Segments) _ 파일의 목록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 ls -alh _ mkdir(Make directory) _ 디렉토리 생성 pwd(print working directory) _ 현재 작업 중인 디렉터리의 이름을 출력 git status _ 현재 저장소에서의 작업 내용을 확인 git log _ commit 히스토리 로그를 출력 git branch _ 브랜치의 생성, 삭제, 이름 변경 등을 관리 git checkout _ 저장소의 소스를 로컬에 복사 git add _ 변경된 디렉터리 혹은 파일을 추가 git push _ 수정한 소스를 원격 저장소에 등록 g..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mt7l5/btqzECkxR7t/5tOrzrKJ0KOm0VC3j348Qk/img.png)
*HTML의 기본 구조 _예시 HTML Hello, HTML *문서 타입 정의 보통 DTD(doctype)라고 부름 문서가 어떤 버전으로 작성되었는지 브라우저에 알려주는 선언문 격, 반드시 문서 내 최상단에 선언되어야 함 *요소 문서 타입 선언 후, 태그가 나오고 자식으로는 태그와 태그 태그의 lang 속성은 어느 언어로 작성 되었는지 의미 태그에 위치하는 태그들은 브라우저 화면에 표시 안 됨 (문서의 기본 설정이나 외부 스타일 시트 파일 및 js 파일을 연결하는 등의 역할) 태그의 charset 속성은 문자의 인코딩 방식을 지정 태그에는 실제 브라우저 화면에 나타내는 내용이 들어감 위 코드는 가장 기본적인 문서 구조, 이 보다 더 많은 태그가 들어감